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01

산동 산수유마을 1. 언제 : 2022.3.17 2. 어디 : 산수유마을 3. 참석 : 임노욱 혼자 4. 후기 현천마을에 들렸다. 산수유꽃을 보러 산동에 산수유마을에 들어가 봅니다. 코로라 19 때문에 산수유축제가 취소되었지만 방문객은 아주 많네요. 구례 산수유마을에 상징물인 산수유 조형물이 보이네요. 산수유꽃은 최고의 절정입니다. 할아버지가 수수빗자루를 만들고 계시네요. 상위마을에 들려 보았는데 너무나 개발이 되어 예전과 같은 기분이 들지 않아 바로 아지트에 내려갔더니 코로라19 때문에 격리 중인 줄 알았던 종신이가 언제 왔는지 혼자 있어서 3박 4일 동안 함께 있으면서 외로움을 달래 본다. 2022. 3. 20.
산동 현천마을 1. 언제 : 2022.3.17 2. 어디 : 현천마을 3. 참석 : 임노욱 혼자 4. 후기 딸내미가 집에 온다고 코로나19 확진으로 3.9~14일까지 자가 격리를 마친 날 보면 안 된다고 아지트에 내려가라고 해서 혼자 아지트에 내려가는 길에 현천마을에 들려 본다. 작년에는 현천마을에서 "자연스럽게"라는 MBN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전인화, 조병규, 은지원, 김종민 출연한 프로그램을 찍고 있어서 방문객이 아주 많았는데 금년에는 어떤가 하고 들어가 봤는데 방문객도 별로 없고, 방송에서 사용하던 집들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역시나 예상했던 대로입니다. 방송의 주 무대였던 전인화 씨가 살던 집은 옆에 새로운 2층 건물이 들어서 보이지도 않네요. 전인화씨가 살던 집 들어가는 입구에는 또 다른 집이 들어서.. 2022. 3. 20.
춘삼월에 눈꽃을 보러 노고단 1. 언제 : 2022.3.20 2. 어디 : 지리산 노고단 3. 참석 : 임노욱, 전종신 4. 후기 안개가 자욱한 날씨라 특별나게 가고 싶은 산행지가 없어서 어제 차가 올라가지 못해 못 간 노고단에 가보기로 하고 아지트를 나선다. 시암재에 주차를 할까? 하다 차들이 내려와 성삼재를 향해 출발했는데 앞차가 뒤돌아 가라고 신호를 준다. 왜 그런지 물어보니 앞에도 차 한 대가 눈 때문에 오르지 못하고 있는데 이곳을 지나도 위에 또 차가 오르지 못한다고 뒤돌아 가란다. 시암재로 되돌아 와서 산행 준비를 마치고 성삼재를 향해 오르는데 4륜 구동 차량은 충분히 올라올 수 있었는데 걸어 오르니 기분은 별로입니다. 어제 눈이 많이 내렸지만 날씨가 포근해 눈이 많이 떨어진 상태지만 그래도 멋지네요. 노고단 대피소 저위.. 2022. 3. 20.
광양매화 마을 1. 언제 : 2022.3.18 2. 어디 : 광양 매화마을 3. 참석 : 임노욱, 전종신 4. 후기 매년 보는 매화마을에 매화가 보고 싶어 달려갔다. 매화마을 꽃을 구경하고 쫓비산 산행을 했는데 오늘은 꽃구경만 하기로. 평일인데도 코로라19 때문에 축제는 취소되었지만 방문객은 아주 많고 매화 개화가 최고 절정인 듯하다. 히어리 우리나라 신토불이 토종꽃으로 꽃말은 "봄의 노래" 좀 특이하죠. 매화 너머 섬진강이 아름답게 보이네요. 사진사 분들이 없어서 여유롭게 사진을 찍어 보네요. 최고 절정인 듯하지요 진달래가 벌써 피었네요. 이렇게 광양 매화마을을 둘러보고 돌아오면서 산수유마을에 들렸으나 어제 사진을 다 찍어 오늘은 감상만 하고 나옵니다. 2022. 3. 19.
노고단에 눈이 비가 내려 아지트에서 쉬고 있는데 오후에 비가 그쳐 노고단을 바라보니 눈이 쌓여있어 노고단이나 가볼 요량으로 길을 나선다. 시암재에서 성삼재 가는길 길이 미끄러워 차량이 앞으로 가지 못해 시암재로 철수 지나가는 차가 돌아오지 않는 것 같아 다시 가보지만 앞차가 올라가지 못해 다시 철수 오늘 눈 구경은 이것을 만족하고 내려왔네요. 2022. 3. 19.
구이저수지둘레길 걷기 1. 언제 : 2022.3.15 2. 어디 : 구이저수지둘레길 3. 참석 : 임노욱, 조찬운 4, 후기 지난 3.8일 기침과 오한이 심해 코로라 자가진단을 해보니 두줄이 나와 중화산동 체육관에 가서 코로라 19 검사를 했더니 다음날 확진자라는 통보 및 3.14일까지 자가 격리하란다. 자가격리가 끝이 나고 15일 바리스타 교육이 있어서 참석해도 되는지 알아보니 마스크를 쓰고 참석해도 된다기에 교육에 참석, 교육이 끝나고 조찬운 씨와 점심을 먹으러 가다 갑자기 구이저수지 둘레길을 걸어 보기로 하고 방향을 틀어 상학마을 옛날국수집에서 점심을 먹고 구이저수지둘레길을 걷기 시작. 산수유꽃 매화가 만발합니다. 벚꽃이 필 때 직원들이랑 도시락 싸가지고 와서 먹은 기억이 있는 곳인데 구이저수지 모습 이런 대나무 숲도 .. 2022. 3. 15.
백운산 둘레길 2코스 1. 언제 : 2022.3.6 2. 어디 : 백운산 둘레길 2코스 3. 코스 : 논실~한재~중한치마을~하천마을, 11.4km 4. 후기 지난 2.13일 백운산둘레길 1코스를 걷고 2코스 마지막 하천마을에 차량을 서포트해두고 광양에 논실까지 거리가 47km나 되어 몇 번을 고민하다 오늘은 힘들어도 걷기로 하고 하천마을에 종신이 차를 서포트해두고 샘물님 차로 광양 논실마을로 이동 둘레길 걷기를 시작한다. 1980년 백운산 산행중 비가 와 구름 때문에 방향감각을 잃어버려 내려왔더니 섬진강이 나와 나룻배를 타고 화개장터까지 걸은 기억 있는데 40년 만에 다시 내려와 보는데 감회가 새롭네요. 그런데 실제로 걸어 보니 옛날과 같이 산길이 아니고 임도길, 포장된 길이라 옛 기억하고는 전혀 달라 기대치보다 별로 였다... 2022. 3. 8.
봉화마을 1. 언제 : 2022.3.5 2. 참석 : 임노욱, 이혜경, 바람개비 3. 후기 사전투표를 마치고 멀리 봉하마을에 들려 내가 바라는 대통령을 생각해 봅니다. 2022. 3. 8.
광양 매화마을 1. 언제 : 2022.3.5 2. 참석 : 임노욱, 김혜경, 바람개비 3. 후기 봉화마을에 들렸다. 돌아오면서 매화마을에 매화가 궁금해서 들어가 보았는데 무척 바람이 많이 불고 추운 날씨인데도 방문객이 아주 많네요. 홍매는 만개했는데 다른 매화는 이제 한두 송이 피기 시작합니다. 2022. 3. 8.
변산마실길 8코스 걷기(청자골 자연생태) 1. 언제 : 2022.2.27 2. 어디 : 변산마실길 8코스 3. 코스 : 곰소염전~구진마을~신활마을~호암마을~줄포환경센터~줄포만갯벌생태공원, 11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샘물, 삼치구이 5. 후기 8코스는 청자골 자연생태길은 농로와 해안 바닷가 제방을 따라 조성된 구간으로 다소 지루한 느낌이 든다. 탐방시 미리 탐방에 필요한 물 등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세계 최고의 상감청자를 생산하였던 유천도요지에 새롭게 청자박물관이 있어 어린 학생들의 체험공간으로 활용하기에 그지없다. 특히, 부안자연생태공원에서는 각종 염생식물과 자연생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고 드라마 촬영지로 곽광을 받고 있는 곳이다.(변산 마실길 홈페이지) 곰소염전, 일본에서 방사선 오염수를 방류한다고 .. 2022. 2. 28.
변산마실길 7코스 걷기(곰소 소금밭길) 1. 언제 : 2022.2.26 2. 어디 : 변산마실길 7코스 걷기 3. 코스 : 왕포마을~내소사입구~똥섬~곰소시장~곰소염전, 12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샘물, 삼치구이 5. 후기 마실길 5,6코스는 작년 가을에 비를 맞으며 힘들게 걸어서 생략하고 바로 7코스를 걷기로. 7코스는 곰소 소금 밭길이라고도 하며 바닷길도 아니고 숲길도 아닌 넓은 갯벌을 막아 만든 제방길을 종종 걸어야 하는 구간이며 지형의 형세가 마치 스님이 불공하는 형상의 다양한 지역으로 전나무숲길을 걸어 내소사 탐방과 연계되는 구간이다. 광대한 갯벌과 칠산어장을 바라보면서 곰소항에 이르면 무기염류가 풍부한 천일염으로 담은 풍성한 젓갈시장에서 맛깔나는 젓갈 백산으로 시장기를 달래고 전국에서 유명한 곰소염전까지 연결되.. 2022. 2. 28.
변산마실길 4코스 걷기(해넘이 솔섬길) 1. 언제 : 2022.2.26 2. 어디 : 변산마실길 4코스 3. 코스 : 격포항~이순신셋트장~궁항~상록해수욕장~솔섬, 5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샘물, 삼치구이 5. 후기 줄포 소공원에 베이스캠프를 치고 마음 편하게 하룻밤을 보내고, 새벽부터 전화기 충전을 하고 출발 전에 시동을 거는데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서비스센터를 불러 시동을 걸고 솔섬에 샘물님 차를 대포 해 두고 격포항으로 이동 4코스 걷기를 시작. 격포항의 모습이다. 채석강 쪽으로는 많이 가봤지만 "지질명소 채석강 지오트레일" 이곳은 처음 들어가 본다. 격포항이 한국의 나포리로 일컬어지는 항이라고 홍보를 하던데 크다는 생각을 한 번도 해보지 않았는데 이곳에서 보니 상당히 큰 항구다. 채석강 지오트레.. 2022. 2. 28.